'Keyword'에 해당되는 글 77건

  1. 2007.09.15 모라토리엄(moratorium)
  2. 2007.09.15 H.264
  3. 2007.09.14 메세나(Mecenat)
  4. 2007.09.13 에반젤리스트
  5. 2007.09.12 멘토(mentor)
  6. 2007.09.12 얼리어덥터
  7. 2007.08.15 미디어 매트릭스(media matrix)
  8. 2007.07.18 UX( User Experience )
  9. 2007.07.07 OPML(Outline Processor Markup Language )
  10. 2007.06.23 포지셔닝(Positioning)
Keyword2007. 9. 15. 10:06

◆모라토리엄(moratorium) 인간=모라토리엄은 원래 지불유예를 뜻하는 경제용어다. 이것이 사회심리학 용어로 전용돼 사회적 자아의 확립을 미루는 상태를 의미하게 됐다. 모라토리엄 인간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확정하지 않고 다양한 가능성을 항상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유연성을 지니고 있으나 조직.사회.국가에 대한 귀속의식이 희박한 게 특징이다.


신정아 사건을 본 심리학자들의 분석 중에서

'Key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워블로거  (2) 2007.10.03
롱테일 (The Long Tail)  (0) 2007.09.30
H.264  (0) 2007.09.15
메세나(Mecenat)  (0) 2007.09.14
에반젤리스트  (0) 2007.09.13
Posted by @buza19
Keyword2007. 9. 15. 07:41


H.264’란 DMB용 영상전송에 이용되는 동영상압축 규격을 뜻한다. H.264는 국제표준화기구 (ISO) 산하 동영상전문가그룹(MPEG)과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공동으로 채택한 동영상 압축 및 복원 규격으로 MPEG-4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MPEG-4 part10: AVC(Advanced Video Coding)라는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H.264는 국내에 도입된 지상파DMB와 위성DMB뿐만 아니라 유럽의 이동휴대방송 기술인  DVB-H, 미국에서 상용화될 예정인 퀄컴사의 미디어플로(MediaFLO)의 H.264를 비디오 표준으로 채택됐다. 뿐만 아니라 KT가 추진 중인 IPTV 역시 비디오 규격으로 H.264를 사용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H.264가 이처럼 널리 채택된 것은 기존 압축규격인 MPEG-2보다 50% 이상 높은 압축효율을 갖기 때문이며, 실시간 방송에 적용될 경우에도 30∼40% 정도 효율이 높다. 다시 말해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더라도 MPEG-2 방식보다 2배정도 많은 수의 채널을 보낼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런 이유로 H.264는 최근 지상파4사가 이번 월드컵 기간동안 시험방송하게 되는 MMS(Muulti Mode Service)향후 본 방송을 시작할 경우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MMS란, 데이터압축기술의 발달에 따라 기존 HD 1개 채널에 할당된 6MHz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HD(고화질급) 채널 1개 외에도 1개의 SD(표준화질) 채널과 다수의 오디오·데이터 채널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현재 SD채널에서의 압축방식은 MPEG-2이지만 H.264를 적용할 경우에는 MMS를 통해 보다 많은 SD채널을 추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168

'Key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롱테일 (The Long Tail)  (0) 2007.09.30
모라토리엄(moratorium)  (0) 2007.09.15
메세나(Mecenat)  (0) 2007.09.14
에반젤리스트  (0) 2007.09.13
멘토(mentor)  (0) 2007.09.12
Posted by @buza19
Keyword2007. 9. 14. 07:46



문화예술.스포츠 등을 공익적 차원에서 지원하는 기업들의 활동. 문화예술가들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은 로마제국의 정치가 마에케나스(Maecenas)에서 유래됐다.

'Key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라토리엄(moratorium)  (0) 2007.09.15
H.264  (0) 2007.09.15
에반젤리스트  (0) 2007.09.13
멘토(mentor)  (0) 2007.09.12
얼리어덥터  (0) 2007.09.12
Posted by @buza19
Keyword2007. 9. 13. 08:11




에반젤리스트는
자사의 기술이나 상품을 주로 블로그나 커뮤니티를 통해 알리는 전도사


에반젤리스트 구하는 곳


'Key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H.264  (0) 2007.09.15
메세나(Mecenat)  (0) 2007.09.14
멘토(mentor)  (0) 2007.09.12
얼리어덥터  (0) 2007.09.12
미디어 매트릭스(media matrix)  (0) 2007.08.15
Posted by @buza19
Keyword2007. 9. 12. 11:07

멘토(mentor)의 유래(네이버 지식인中)

 멘토(mentor)는 고대 그리스 신화 오딧세이에서 유래한 용어로써 BC 1200년경 그리스의 이타이카 왕국의 왕인 오딧세이가 트로이 전쟁에 출전하면서 그의 사랑하는 아들을 가장 믿을 만한 친구에게 맏기고 떠나게 되는데 그의 이름이 멘토(mentor)였다는 것에서 유래한다.

멘토는 오딧세이가 전쟁에서 돌아오기까지 무려 10년 동안, 왕자의 친구,교사,상담자, 때로는 아버지가 되어 그를 잘 돌봐 주었다. 이후 멘토라는 그의 이름은 지혜와 신뢰로 한 사람의 인생을 이끌어 주는 지도자의 동의어로 사용되어 왔다.

 

멘토와 멘토링

멘토는 지혜롭고 믿을 만한 조언자(a wise and trusted advisor)라고 할 수 있고 멘토링(mentoring)은 지도(coaching)하는 일을 포함하여 그와 관계된 모든 역할을 의미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 멘토의 역할은 조언자(advisor), 후원인(sponsor), 후견인(Tutor), 옹호자(Adocata), 인도자(Guide) 등이라 할수 있다.

 


'Key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세나(Mecenat)  (0) 2007.09.14
에반젤리스트  (0) 2007.09.13
얼리어덥터  (0) 2007.09.12
미디어 매트릭스(media matrix)  (0) 2007.08.15
UX( User Experience )  (0) 2007.07.18
Posted by @buza19
Keyword2007. 9. 12. 07:08


얼리어덥터'라는 말은 'early'와 'adopter'의 합성어로 '새로운 문물에 대해 빠른 적응력을 보이는 사람'이라는 정의를 갖고 있습니다. 이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Everette Rogers로 그는 저서 'Diffusion of Innovation'(1995)에서 새로운 컨셉의 제품이 출시됐을 때 이를 수용하는 순서를 구분하면서 이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얼리어덥터'들은 물론 과거에도 있었지만, IT산업의 발달 등 디지털 시대를 맞아 신제품의 출시주기가 짧아지고, '인터넷'이라는 활동공간이 주어지면서 강력하게 주목받고 있으며, 심지어는 특정 제품의 성패를 좌우하기도 합니다.


전체 다섯 단계의 계층 중 '얼리어덥터'가 차지하는 위치는 제품을 기획·개발하는 Innovator의 다음 순서로, 제품이 대중적으로 보급됐을 때 구매에 나서는 Early Majority(3단계)나 Later Majority(4단계)에게 구입을 권유하거나, 동기를 유발하는 오피니언 리더 역할을 해내는 계층으로 분류됩니다.

얼리어덥터는 다양한 제품군에서 관심을 보인다는 점에서 매니어, 또는 수집가와 구별되는데, 매니어의 경우 자신이 관심을 갖는 하나의 제품군에 몰두하는 반면, 얼리어덥터는 소니 '아이보'와 같은 애완 로봇 등 디지털 토이 제품군에서 홈씨어터를 중심으로 한 AV기기,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기기, 또는 기능상의 차이는 없지만, 감성적인 디자인으로 승부하는 아이템까지 다양한 경계를 쉽게 넘나드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하나의 제품을 구입해 이를 소유하는 기간이 대단히 짧아, 디지털 카메라를 샀다가 곧 이를 팔고 휴대용 DVD를 구입하는 등 최신 제품 사용주기가 굉장히 빠릅니다. 즉, 이들에게 있어 그와 같은 소비 행태의 동인은 단지 '새로운 것에 대한 관심'일 뿐인 것입니다.

얼리어덥터의 주 활동무대는 앞서 말씀 드린 대로 인터넷입니다. 물론, 인터넷이 보급되기 전에도 얼리어덥터들은 존재했었지만, 그 때까지만 해도 이들의 일반 소비대중에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의 등장은 이들에게 차원이 전혀 다른 영향력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제품군에 따라 형성되고 있는 각종 使用記 중심의 커뮤니티 사이트들은 이들 얼리어덥터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디지털카메라 사용자들의 모임인 DC인사이드(www.dcinside.com), 노트북 사용자 모임인 NB인사이드(www.nbinside.com), PDA 전문 사이트인 KPDA(www.kpda.com), 피디안닷컴(www.pidian.com) 등의 경우 국내에 출시된 제품뿐만 아니라 아직 국내에 반입되지 않은 제품들에 대한 使用記까지 볼 수 있는 사이트로 알려져 있어, 이들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미리 이들 사이트에 접속해 선경험자의 평가를 확인하고 구매를 결정하는 소비자들이 상당 수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들 사이트에서는 일반 소비자들이 특정 제품에 대해 "이 가격대에서는 어떤 제품이 좋은가요?" 등등 각종 구입관련 문의에 대해 질문마다 전문가 수준의 견해가 실시간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들 사이트들은 제조업체의 마케팅 담당자들에게는 하루라도 모니터링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존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와 같은 트렌드에 대응해 제조업체들도 보다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긴 합니다. 그래서 소니 코리아 같은 기업들은 아예 오프라인 매장까지 차리고 있습니다. 소니는 젊은 이들이 즐겨 찾는 코엑스몰과 압구정동 등지에 고객이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소비자 누구라도 방문해 직접 디지털카메라로 사진을 찍고 프린터로 출력을 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또, 홈씨어터로 영화를 한 편 볼 수도 있게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소니 코리아에게 있어 이들 오프라인 공간은 고객의 반응을 감지할 수 있는 '안테나 숍'으로 기능하는 것인데, 소니와 같이 '안테나 숍'과 '체험 마케팅'을 겨냥한 오프라인 공간마련은 최근 아주 광범위하게 기업들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와 같이 일반 소비자들 보다 신제품을 빠르게 사용하고, 색다른 신제품을 찾으며, 기계에 푹 빠져 있는 이들 얼리어덥터들이 이제는 디지털 시대의 확산을 이끄는 오피니언 리더로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얼리어덥터의 부각은 기술을 주도하고 제품화를 앞당기며, 소비를 주도하는 주체가 소비자로 바뀌는 디지털 시대의 소비시장의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것입니다.

참고로 얼리어덥터들이 추천하는 대표적인 신제품 소개 사이트로는
www.earlyadopter.co.kr, www.t9t9.com, www.funshop.co.kr, www.mydoop.com 등이 있습니다.


출처: http://ad.joins.com/article.asp?key=2003012209393420002000

'Key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반젤리스트  (0) 2007.09.13
멘토(mentor)  (0) 2007.09.12
미디어 매트릭스(media matrix)  (0) 2007.08.15
UX( User Experience )  (0) 2007.07.18
OPML(Outline Processor Markup Language )  (0) 2007.07.07
Posted by @buza19
Keyword2007. 8. 15. 08:14


미디어 매트릭스(media matrix)는
메이로비츠가 제시한 개념으로 ‘공존하는 미디어들의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함


※ 참고자료: 윤태진 외, 2005,『IT와 문화콘텐츠의 내용과 형식의 변화 - 음성, 문자, 영상언어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ey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멘토(mentor)  (0) 2007.09.12
얼리어덥터  (0) 2007.09.12
UX( User Experience )  (0) 2007.07.18
OPML(Outline Processor Markup Language )  (0) 2007.07.07
포지셔닝(Positioning)  (0) 2007.06.23
Posted by @buza19
Keyword2007. 7. 18. 18:24


UX User Experience 약자입니다. UX 우리 말로사용자 경험이라고 번역합니다만,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고, 어떻게 느끼는지에 대한 총체적인 사항이라는 광범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UX 누구나 쉽게 사용할 있도록 직관적이고, 동일한 일을 가장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할 있으며, 보기에도 좋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또한 진정한 사용자 중심의 UX 정말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이 되어봐야 하고,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셈이 됩니다
.

Posted by @buza19
Keyword2007. 7. 7. 06:44



OPML은 Outline Processor Markup Language의 줄임말로 우리말로 바꾸면 '개요 처리 언어'이다. OPML은 서로 다른 운영 체계와 환경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같은 개요에 관한 구조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XML기반의 형식이다. 홈페이지의 문서 내용을 요약해서 보여주는 RSS와 비슷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인터넷 문서 수집을 위한 한 형식으로 생각하면 된다.

===============================================

또 다른 설명

OPML은 Outline Processor Markup Language 의 약자입니다. 쉽게 풀어쓰자면 개요처리기 표시언어 정도쯤 되지 않을까요 ? 이름에서 대강 짐작할 수 있듯이 OPML은 개요처리기를 위한 파일 형식으로 정의되었던 언어였습니다. 원래는 RSS와는 별도로 정의되었던 언어였는데, RSS가 등장하면서 RSS 피드 목록을 교환하는 용도로 주목을 받게 됐습니다.

이렇게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 실제 어떤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보시면 그 필요성을 훨씬 잘 이해하시고, 실제 이용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여러분이 특정 RSS Reader 로 여러 RSS 피드를 구독하고 있었는데, 지금 쓰는 RSS Reader가 별로라고 느끼던 차에 멋진 RSS Reader를 발견했다고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바로 새로운 RSS Reader로 바로 옮길 수 있으시겠습니까? 그렇진 않을 겁니다. 왜냐면 기존에 입력해 두었던 RSS 피드 목록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RSS 피드 목록을 일일이 새로운 RSS Reader 로 옮기려는 *노가다*를 생각하고는 옮기는 걸 포기하실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 때, OPML이 등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http://yesarang.tistory.com/24


'Key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 매트릭스(media matrix)  (0) 2007.08.15
UX( User Experience )  (0) 2007.07.18
포지셔닝(Positioning)  (0) 2007.06.23
UCI(Universal & Ubiquitous Content Identifier) 디지털콘텐츠 식별체계  (0) 2007.06.23
Social Computing  (0) 2007.06.16
Posted by @buza19
Keyword2007. 6. 23. 17:02


소비자의 마음 속에 자사제품이나 기업을 표적시장·경쟁·기업 능력과 관련하여 가장 유리한 포지션에 있도록 노력하는 과정.

변화에 따라 우리가 원하고 있는 현재의 시장표적의 마음에 우리의 브랜드를 위치시키는 것

포지셔닝 전략은 소비자가 원하는 바를 준거점으로 하여 자사제품의 포지션을 개발하려는 '소비자 포지셔닝 전략'과 경쟁자의 포지션을 준거점으로 하여 자사제품의 포지션을 개발하려는 '경쟁적 포지셔닝 전략'으로 구분된다. 또한 소비자들이 원하는 바나 경쟁자의 포지션이 변화함에 따라 기존제품의 포지션을 바람직한 포지션으로 새롭게 전환시키는 전략을 리포지셔닝(repositioning)이라고 한다.

출처: 네이버



Posted by @buza19